<aside> 💡

공연예술 작품은 다양한 감각적 요소(예를 들어, 조명, 사운드, 후각 등)들로 채워지고 구성됩니다. 이런 요소들은 관객에게 알러지, 천식, 광과민성 간질 등 관객의 신체적 건강에 치명적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. 주로 ‘트리거 워닝’이 PTSD(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)나 불안 장애를 유발하는 내용적 콘텐츠를 다룬다면, ‘콘텐츠 워닝’은 포그나 큰 소리 등 관객에게 즉각적 충격을 주는 요소들도 포함합니다. 콘텐츠 워닝이 일부 관객에게는 매우 필요한 정보이지만, 일부 관객에게는 관람 방해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아래에 별도 기재하여 공유드립니다. 기재되어 있는 공연명 좌측의 삼각형(▶)을 클릭하시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*참고: “페어 플레이: 트리거 워닝 가이드 라인 마련과 활용에 관한 연구” (2022)

</aside>

<몸(Body)> - HBE무용단(Human Body Expression)

<2122.21222> - 전복된 해부학적 풍경(SUBVERTED ANATOMICAL LANDSCAPE)

<야만인들(BÁRBAROS)> - 리모사니 프로젝트(Limosani Projekts)

<45> - 폴리시 댄스 시어터(Polish Dance Theatre)

<섬!(The Island!)> - 부르키콤(Burkicom)

<벌집(HIVE)> - 가브리엘 피에트로 마룰로/인시에메 이레알리(Gabriel Pietro Marullo/INSIEME IRREALI)